VI & VIM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
-현재 vi의 여러 기능을 추가한 vim을 사용
-대표적인 모드형 편집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
VIM설치 및 alias 설정
1. 미니멀 버전은 다운로드 되어있지 않음으로 직접 설치해야한다.
# yum -t install vim
2. vi를 입력하면 vim이 실행되도록 alias를 걸어준다.
# alias vi='vim'
# vi [파일명]
파일이 있을 경우 - 수정
파일이 없을 경우 - 파일 생성 후 입력 or 수정
옵션
-i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l 맨앞에 커서 위치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a 현재 커서 위치에서 한칸 뒤로 이동 후 입력 모드로 전환
-A 마지막에 커서 위치 후 입력 모드로 전환
-o 다음줄에 빈줄을 만들고 커서를 위치한 후 입력 모드로 전환
단축키
w 파일 저장
q 종료
esc 명령어 모드로 전환
실행 모드
:q 변경내용이 없을 때 종료
:q! 변경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로 종료
:w [파일명] 새로운 파일로 저장
:wq 저장 후 종료
:wq! 저장 후 강제로 종료
:e!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파일 다시 열기
:[숫자] 입력한 숫자의 행으로 이동
/[문자열] 문자열 검색, 문서 처음부터 아래로
?[문자열] 문자열 검색, 문서 마지막부터 위로
n 다음으로 일치하는 단어
N 이전에 일치한 단어
%s/[문자열1]/[문자열2]/g 문서 전체의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변경
:set number(or :set nu) 행 번호 붙이기
명령 모드
hjkl 방향키 h=좌 j=하 k=상 l=우
ZZ 저장 후 종료
G 문서의 마지막 행으로 이동
gg 문서의 처음으로 이동
[숫자]gg 입력한 숫자의 행으로 이동
x 커서가 위치한 한글자 삭제
dd 커서가 위치한 행을 삭제
[숫자]dd 입력한 숫자 만큼 행 삭제
yy 한 행 복사
p 커서 아랫줄에 붙여넣기
[숫자]yy 입력한 숫자 만큼 행 복사
ctrl + r redo
u undo
시스템상에 필요한 파일을 편집하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복사하여 실습해보자.
i를 누르면 위와 같이 하단에 --INSERT-- 가 출력되며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esc를 통해 명령모드로 돌아와 실행모드로 :wq(=저장 후 닫기)를 입력해보자.
cat명령어로 파일을 열어보면 위와같이 문서가 편집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계정 관리1 (파일) (0) | 2017.06.05 |
---|---|
리다이렉션 & 파이프 & 환경변수 및 초기화 파일 (0) | 2017.06.04 |
링크파일 (0) | 2017.06.02 |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2 (0) | 2017.06.01 |
기본 명령어와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0) | 2017.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