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파일은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이다. 리눅스 시스템에는 모든 정보와 장치가 파일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에는 실제 디스크상에 파일이 저장될 때 파일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inode)가 있다.
파일의 대표적인 종류
-일반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일이다.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파일이 일반에 해당된다. 이미지 파일, 실행 파일, 데이터 파일은 0과1(바이너리)의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불린다. 텍스트 파일의 내용은 아스키(ASCII)코드로 구성되어 문서 편집기를 이용하여 내용을 보거나 수정할 수 있지만, 나머지 파일들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디렉토리 파일
디렉토리에 속하는 파일의 이름과 inode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링크 파일
원본 파일을 대신해서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파일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바로가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장치 파일
리눅스 시스템의 장치(하드웨어)들을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이다.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에 접근해야한다.
디렉토리 계층 구조(FHS, FIlesystem Hierachy Standard)
파일 시스템
위와 같이 계층적으로 구성된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을 파일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계층적 구조로 시스템 내의 수많은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파일 디렉토리 규칙
'/'를 이름에 사용할 수 없다. 알파벳, 숫자, 파이픈, 밑줄, 점만 사용한다. 파일과 디렉토리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별하며,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숨김 파일로 간주한다.
-최상위 root 디렉토리
'/'로 표기되며 모든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이다.
-하위 디렉토리(서브 디렉토리)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한 디렉토리이다.
-상위 디렉토리(부모 디렉토리)
'..'으로 표기되며 루트 디렉토리를 제외한 모든 디렉토리는 상위디렉토리가 있다.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으로 표기되며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Current Directory)라고도 불린다.
-홈 디렉토리(Home Directory)
'~'으로 표기되며 사용자에게 할당된 작업영역으로,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어느 사용자든 홈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다.
경로 표기법
(위의 계층 구조 사진 참고)
-절대경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거치는 모든 중간 디렉토리의 이름을 표시한다. 무조건 /로 시작한다. ex) /usr/local/bin
-상대경로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로, 상위 디렉토리를 '..'로 표시한다. 상대경로는 현재 디렉토리가 어디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현재 위치가 /usr/local 이라고 보면 상위 디렉토리인 usr는 ..라고 할 수 있고 최상위 디렉토리인 root는 ../..라고 할 수 있다.
프롬프트 구조
[ root@Server - A ~]#
root 계정명: 현재 로그인한 계정명이 위치하는곳
@ 계정명과 호스트네임을 구별하기 위한 문자
Servar - A 호스트네임: 접속한 서버의 이름이 위치하는곳
~ 디렉토리 경로: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현재 위치한 경로의 마지막 디렉토리 명이 출력되는곳
# 현재 로그인한 계정이 root이면 #. 그외 일반 사용자들은 $
기본 설정
복사 붙이기 간편 설정
Xshell상단바의 도구-옵션을 클릭한다.
위와 같이 설정 하면 드래그=복사, 우클릭=붙이기 가 설정되어 간편하게 복붙을 할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2 (0) | 2017.06.01 |
---|---|
기본 명령어와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0) | 2017.05.30 |
Xshell5 소개 및 원격접속 (0) | 2017.05.27 |
CentOS 소개 및 설치 (0) | 2017.05.25 |
VMware소개&설치 및 가상머신 생성 (0) | 2017.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