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CentOS
CentOS는 리눅스를 기반으로 반들어진 레드햇 계열의 운영체제이다. CentOS는 RHEL의 자체 프로그램 사용은 불가능 하지만 레드햇에서 공개하는 소스를 그대로 컴파일 되어 있어 레드햇과 완벽하게 호환되고 RHEL과 효용성이 비슷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무료 기업용 컴퓨팅 플랫폼 제공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안전성이 높고 서버용 기능이 충실하여 서버용으로 많이 선호되는 운영체제이다.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레드햇이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 상용 리눅스 배포판이다.
CentOS 설치
단축키
ctrl+alt: VMware에서 작업을 하면 키보드와 마우스가 게스트OS에 있으므로 호스트OS로 나오려면 이 단축키를 써야한다.
ctrl+alt+insert: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ctrl+alt+del과 같다.
Power 버튼을 눌러 가상머신을 실행 시킨다.
Install system with basic video driver 메뉴를 선택한다.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으로 설치 시 화면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 선택하는 메뉴다.
설치 CD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OK를 눌러 점검을 할 경우 시간이 오래 지체됨으로 특별히 문제가 없을 경우 Skip을 선택한다.
커널 이미지와 커널에 사용되는 모듈들이 메모리에 로딩 되며 시스템을 점검하고 anadonda가 실행된다.
*anaconda- 레드햇에서 파이썬과 C를 기반으로 개발한 리눅스 설치 소프트웨어이다.
위 화면이 나오면 Next
사용할 언어를 선택 후 Next
시스템에서 사용할 키보드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한국어가 없으므로 영어를 선택 후 다음버튼을 누른다.
CentOS를 로컬 하드디스크에 설치 하기 위해 기본 저장 장치 선택한다.
예 버튼을 클릭하여 할당된 하드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다.
호스트명을 입력 한다.
서울로 설정하고 UTC 선택란을 클릭 한다.
root계정에 사용할 암호를 입력한다.
디스크 파티션 생성을 위해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를 선택한다.
위 화면이 나오면 만들기 클릭하고 위에 띄워진 창에서 표준 파티션 선택 후 생성을 누른다.
마운트 지점:/boot 파일시스템 유형: ext4 용량:200으로 설정하고 고정 용량란에 체크 후 확인
같은 방식으로 만들기에서 표준파티션 선택 생성 후
파일시스템 유형: swap 용량: 512 고정 용량란에 체크 후 확인
만들기에서 표준파티션 선택 생성 후
마운트 지점: / 파일시스템 유형: ext4 용량: 200 가능한 최대 용량으로 채움란에 체크 후 확인
설절을 마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면 다음을 누른다.
위와 같은 창이 뜨면 포맷을 누른다.
디스크에 변경 사항 기록을 선택한다.
위와 같이 설정 후 부트로더가 설치되는 디스크 확인하고 다음버튼 누른다.
설치 완료가 되면 재부팅을 시킨다.
재부팅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아이디는 root로 설정후 이전에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비밀번호 입력은 출력되지 않으므로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른다.
엔터후 위와 같은 프롬프트가 나오면 성공적으로 로그인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명령어와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0) | 2017.05.30 |
---|---|
리눅스 구조 및 개념 + 기본 설정 (0) | 2017.05.30 |
Xshell5 소개 및 원격접속 (0) | 2017.05.27 |
VMware소개&설치 및 가상머신 생성 (0) | 2017.05.24 |
Linux 소개 (0) | 2017.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