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란?
Windows, Unix 와 함께 3대 운영체제에 속하며, 1990년대 초에 리누스 토발즈가 Unix를 대체하기 위해 Unix를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장점 및 특징
- 다른 OS들 과는 달리 모든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무료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 소스가 공개되어 있으므로 다른 OS보다 문제가 생겼을 때 보다 빨리 해결 가능하므로 비교적 안전하다.
- 호환성이 뛰어나 Unix와 완벽하게 호환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다.
- 리눅스에서 두가지 이상의 작업을 한번에 할 수 있는 Multi-Tasking이 가능하고 여러 유저들이 사용가능하다.
- GUI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OS인 윈도우, 매킨토시와는 달리 리눅스는 CUI이다.
- 오픈소스 운영체제라 누구나 기호에 맞게 수정하고 개발할 수있어 배포판의 종류가 약 300여 가지나 된다.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마우스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환경을 뜻한다.
*CUI (charater user interface): 키보드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수많은 배포판 중 대표적인 것들이며, 그 중 레드헷, 데비안, 페도라, 우분투와 CentOS가 가장 많이 쓰인다.
리눅스 자체가 무료이므로 문제가 생겼을 시에 기술을 지원하고 돈을 받는 계열사도 있다.
핵심 개념
커널&쉘
커널: 각각의 하드웨어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좁은 의미의 운영체제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코드를 통해서 소프트웨어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역할을 한다.
쉘: 명령어 해석을 하며 커널의 앞부분에서 사용자가 코드를 입력하면 커널에 전달해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프로그래밍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Bash
Bash는 Bourne Again shell의 줄임말이며, bourne shell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리눅스에서 대부분 배시 쉘을 사용한다.
프롬프트
컴퓨터가 입력을 기다리고 있음을 가리키기 위해 화면에 나타나는 표시이다.
[root@Server-A ~ ]# 화면에 이런 형태로 출력이 된다.
root - 쉘에 로그인 중인 사용자의 계정
@ - 사용자와 호스트를 구별하기위한 문자
Server-A - 접속한 서버의 이름이 위치하는 곳
~ - 현재 사용자가 있는 위치, 로그인한 계정의 홈디렉토리
# - 사용자의 기호. 일반사용자는 $, root는 #
GNU 선언문
(https://www.gnu.org/gnu/manifesto.ko.html)
GNU 선언문은 리눅스에 큰 의미가 있다.
GNU 선언문을 보면 리눅스가 지금까지 발전 할 수 있었던 기반을 다져주었고 끊임없이 발전할 수 밖에 없느니 이유를 알 수 있다. 리눅스라는 것을 알기전에 GNU 선언문을 통하여 오픈소스의 공유와 나눔철학을 이해함으로써 리눅스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더욱 더 가치있을 것이다.
자격증
LPIC(Linux Professional Institute Certificaion): 리눅스 국제자격증 이며 LPI단체에서 운영하는 인증제도이다.
RHCE(Red Hat Certified Engineer): 리눅스이 오래된 배포본중의 하나인 레드헷에서 주관하는 사설자격증이다.
리눅스마스터 1,2급: KAIT(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주관하는 국가공인자격증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명령어와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0) | 2017.05.30 |
---|---|
리눅스 구조 및 개념 + 기본 설정 (0) | 2017.05.30 |
Xshell5 소개 및 원격접속 (0) | 2017.05.27 |
CentOS 소개 및 설치 (0) | 2017.05.25 |
VMware소개&설치 및 가상머신 생성 (0) | 2017.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