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시스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간 또는 조직하는 체제이다. 파일 저장 및 검색을 용이하도록 유지,관리하며 빠르게 읽고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규칙이다. 리눅스 지원 파일 시스템 종류 -Ext3, Ext4, SWAP, XFS, nfs, iso9660 Disk의 종류 -IDE, SATA, SCSI, SAS Boot sector(Boot Block)와 Block Group -Ext4의 파일 시스템은 BootSector와 Block Group으로 구분가능하다. Boot sector -Boot Sector는 Block Group 0번 앞에 위치해 있으며, MBR과 LILO 또는 GRUB가 저장되어 있다. *MBR = Master Boot Record *LILO = Linu..
프로세스 커널의 관리 하에 현재 시스템에 동작중인 프로그램이다. 커널은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각 프로세스에게 PCB를 할당한다. init(initialization,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을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고 있다. *PCB(Process Control Block) -고유번호(PID, Process Identification Number) 커널이 할당하는 프로세스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번호 -우선순위 운영체제가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정보 -현재상태 할당받은 자원 및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프로세스의 종류 데몬(Daemon) 프로세스 -윈도우즈의 서비스 개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고 있는 프로세스 ex)웹 서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httpd 라는 동..
UMASK 새로운 파일, 디렉토리 생성 시 기본 허가권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값(기본값 : 022) 기본 허가권 -디렉토리 : 777 (rwxrwxrwx) -파일 : 666(rx-rx-rx-) 디렉토리 파일 기본값 777 666 UMASK 022 022 결정된 허가권 755 644 if UMASK 077 077 if 결정된 허가권 600 600 #umask umask 확인 #umask [허가권] umask 변경 홈디렉토리에 적용되는 UMASK /etc/login.defs umask 값 확인 파일과 디렉토리 생성 후 확인 파일의 기본값 666, 디렉토리 기본값 777에서 umask가 적용되어 그룹과 기타 사용자의 쓰기 권한이 없는것 확인 umask 지정 후 변경된 허가권 확인 특수권한 1. SetUID ..
디렉토리 및 파일의 권한과 허가권&소유권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에는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있다. 디렉토리와 파일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허가권 또는 퍼미션이라 하고 디렉토리와 파일의 소유권한을 소유권 또는 오너쉽이라고 한다. 먼저, ll(ls -i)명령어에 각 필드의 의미를 알아보자. 1. 파일 유형 2. 파일 허가권 3. 링크 수 4. 파일 소유계정명 5. 파일 소유그룹명 6. 파일의 크기 7. 마지막으로 변경된 날짜,시간 8. 파일명 chown (change ownership) 소유권 변경 #chown [소유계정]:[소유그룹] [파일명] 옵션 -r 하위모든 파일들 포함하여 설정 USER 계정으로 파일을 하나 만든 후 소유계정,그룹을 확인 root계정으로 돌아와 USER계정의 그룹..
사용자 계정 관리 명령어 useradd 사용자 계정 추가 #useradd [옵션] [계정명] 옵션 -u UID를 지정하여 계정 생성 -g GID를 지정하여 계정 생성 -G 보조그룹을 지정하여 계정 생성 A 계정 생성 후 passwd파일에서 확인 B 계정의 UID 지정하여 생성 후 확인 C 계정의 GID 지정하여 생성 후 확인 D 계정의 보조그룹 지정하여 생성 후 확인 group파일에서도 확인 usermod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변경 #usermod [옵션] [인자] [계정명] 옵션 -c 코멘트 정보 변경 -g 기본 그룹(GID) 변경 -G 보조 그룹 변경 -u UID 변경 -s shell 변경 -l 계정명 변경 A계정의 UID를 999로 변경 후 확인 A계정의 GID를 777로 변경 후 확인 A계정의 보조..
사용자 계정 관리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므로 사용자를 구별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자월을 할당해 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기본적인 최소한의 권한과 개개인에게 알맞는 설정을 주어야 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계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사용자의 계정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시스템 관리자의 입장에서도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사용자 계정의 종류 1. 관리자 계정 -root 2. 시스템 계정 -데몬(DAEMON) 실행 시 사용하는 계정 3. 일반 사용자 계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그 외의 모든 계정 그룹 - 모든 계정은 그룹이라는 소속을 설정할 수 있으며 최소 하나의 그룹에 속한다. - 계정 생성 시 그..
리다이렉션 -표준입력과 출력의 방향을 재지정하는 방법 표준입력장치 fd/0 (키보드) stdin 명령어 입력(키보드/표준출력) 표준출력장치 fd/1 (모니터) stdout 명령어의 결과 (모니터/표준출력) 표준에러장치 fd/2 (모니터) stderr 명령어의 에러 (모니터/표준에러) *fd(File Discriptor) -리눅스의 일반 파일과 장치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파일을 열거나 실행할때 혹은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커널이 프로세스를 실행시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들과 추가로 실행할 프로세스가 있다면, 이러한 정보를 파일 디스크립터 테이블이라는 곳에 저장한다. 이때, 파일 디스크립터 테이블에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숫자를 부여하고 관리하며, 비어있는 0번..
VI & VIM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 -현재 vi의 여러 기능을 추가한 vim을 사용 -대표적인 모드형 편집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 VIM설치 및 alias 설정 1. 미니멀 버전은 다운로드 되어있지 않음으로 직접 설치해야한다. # yum -t install vim 2. vi를 입력하면 vim이 실행되도록 alias를 걸어준다. # alias vi='vim' # vi [파일명] 파일이 있을 경우 - 수정 파일이 없을 경우 - 파일 생성 후 입력 or 수정 옵션 -i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l 맨앞에 커서 위치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a 현재 커서 위치에서 한칸 뒤로 이동 후 입력 모드로 전환 -A 마지막에 커서 위치 후 입력 모드로 전환 -o 다음줄에 ..
리눅스 파일의 구성 파일 = 파일명 + inode 정보 + 데이터 블록 파일명: 사용자가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파일의 이름 inode 정보: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구조체로서 외부적으로는 번호로 표시가 된다. (inode-number) 내부적으로는 파일의 종류, 크기, 소유자, 변경시간 등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 블록: 실제 하드디스크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위 inode 번호 확인 방법 # ls -i 링크 파일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파일/디렉토리에 대한 바로가기(shortcut)을 만들 때 사용되는 파일이다. 1. 심볼릭 링크 (Soft Link/Symbolic Link) 파일의 위치를 가르키는 정보를 가진 작은 크기의 파일을 생성한다. ..
cat (Concatenate) 명령어 사슬, 연결시키다 라는 뜻으로 파일안의 내용을 연결하여 출력한다. 표준입력과 표준출력을 연결 시켜주는 명령어이다. # cat [옵션] [파일] 옵션 -n 라인 번호를 포함하여 출력 -b 공백을 제외하고 라인 번호 출력 resolv.conf라는 파일의 내용이다. . . . login.defs라는 파일의 내용을 라인번호를 붙여 출력 . . . login.defs라는 파일의 내용을 공백없이 라인 번호를 붙여 출력한 내용이다. 위의 -n옵션과 다르게 공백을 세지않아 끝의 번호가 다른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생성& 내용추가 cat > [파일] 후 엔터 내용 입력 후 엔터 ctrl + d 확인해 보면 abc라는 내용을가진 abc라는 파일이 생성되었다. touch 명령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