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를 지나 2주차를 접어들었다.
일도 그렇고 잡혀있는 일정들(결혼식 등)을 소화하려고 보니 평일은 녹초 주말은 일정이 있는 터라 쉽지 않았다.
용어들도 생소하고 프로그램들도 생소하다.
강의들을 듣고 과제를 수행해 나가는 것이 일정만 따라간다면 쉽지만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닳았다.
퇴근 후 강의를 매일 듣고 과제를 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버거운 느낌이 든다.
이번주는 야근에 일정에 소화하기 쉽지 않은 주 였지만 일단 할 수 있는 과제부터 마쳤다.
그래도 하나씩 차근차근 해나가면서 해보려고 한다.
이번주는 시간안배를 잘 해서 앞으로의 과정을 잘 마쳐보려고 한다.
주차가 지남에 따라 조금씩 과제를 해 나가는 시간도 빨라질 것이고,
더욱 발전하고 성장해 있을 내 모습을 기대해 본다.
오히려 더 늦기 전에 도전한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관련 서적과 아티클을 많이 읽어보면서 관련 지식을 쌓고, 기획안도 많이 만들어보아야겠다.
서비스 컨셉과 방향성 도출하기
서비스 컨셉이란?
어떤 작품이나 제품, 공연,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주된 생각
'왜'에 대한 답변을 만들어가는 과정
좋은 컨셉과 나쁜 컨셉의 차이는 한 눈에 들어오느냐의 차이
1. 문제의식 발굴
사용자의 니즈 파악
시장 트렌드, 서비스 모니터링, 개인의 경험 등으로 발굴
2. 문제의식 검증
추출된 문제를 실제 사용자들이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는가?
데이터 추출, 분석으로 사용성 측면에서 사용자들이 문제라고 인식하는지 확인
이탈률, 부정적 지표들은 문제의식을 검증하는데 중요한 요소
리서치한 정석적 데이터로도 확인 가능
경쟁사, 업계의 회사에서 어떤 부분에서 문제를 직면하고 있는지 파악
3. 개선사항 도출
문제에 대한 개선사항을 만들어내는 과정
4. 서비스 컨셉 설정
서비스 설계를 위해 가설을 설정하는 단계
가설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개선하고자 하는 단계별 확인지표 - AARRR
1.Acquisition - 사용자 유치
현재 사용자가 어떻게 서비스를 접하고 있는가?
KPI : 트래픽, DAU, MAU
2.Activation - 사용자 활성화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가?
KPI : CAC, CPC, 이탈률
3. Retention - 사용자 유지
서비스 재사용율은 어떻게 되는가?
KPI : 재방문 수
4.Referral - 사용자 추천
서비스가 자발적 확산이 이루어지는가?
KPI : 공유수, 초대코드 인입 수
5. Revenue : 최종목표
서비스가 최종목표를 달성하고 있는가?
KPI : 서비스별 상이
목적조직과 기능조직
기능 조직 (Feature Teams)
|
목적 조직 (Component Teams)
|
|
조직 운용 방향
|
많은 업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음
|
많은 고객 가치를 전달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음
|
업무 진행방식
|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병렬적으로 진행함
|
한가지 프로젝트만 진행하는 케이스가 많음
|
조직규모
|
조직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며, 지속 성장하는 경향을 보임
|
조직규모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임
|
조직 간 의존성
|
팀 간의 의존성이 추가 계획 수립으로 이어짐
|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팀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함
|
전문성
|
한 가지의 직군의 조직원으로만 구성됨
|
다양한 직군의 조직원으로 필요에 따라 구성됨
|
조직 운용 방식
|
워터폴 선호
|
에자일 선호
|
실행 난이도
|
상대적로 쉬워보임
|
상대적으로 어려워 보임
|
PM역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고, 관련 분야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있어야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고, 수익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며 노력해야겠다.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베이스 PM스쿨 20기 1주차 후기 (0) | 2023.10.09 |
---|---|
제로베이스 PM 스쿨 얼리버드 퀘스트 후기 (1) | 2023.09.30 |
퀘스트 9 (1) | 2023.09.30 |
퀘스트 8 (1) | 2023.09.30 |
퀘스트 6 (0) | 2023.09.30 |